2023. 4. 1. 12:00ㆍREPORT/INTERVIEW
3-2 Design Project
문화 놀이터 : Complex Cultural Facility
Architect: 소해빈 @cowsunbean_0
Program: 복합문화시설
Location: 충청남도 천안시
Year: 2021
Interview: 2022.03.04
Q. 어떠한 건물을 계획하고자 하였는지에 대해 설계 컨셉을 간략하게 설명해주세요.
소해빈 : 책 <호모 루덴스>에 따르면, 규칙이 밖에서 만들어진 것은 노동이고 규칙을 스스로 정하면 그것은 놀이가 된다. 기존의 문화 시설은 규칙이 이미 정해져 있어 수동적이고 노동의 범위에 있었다. 나는 스스로 규칙을 만들어 놀며 문화활동을 할 수 있도록 계획했다.
Q. 문화활동 영역을 교류형, 체험형, 주도성으로 구분하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소해빈 : 놀이의 3요소를 적용했다. 놀이는 혼자 하지 않기에 교류적이고, 누가 대신 할 수 없기에 체험적이며 누가 억지로 시켜서 하지 않아야 하기에 주도적이다.
Q. 동그라미, 세모, 네모가 컨셉적으로 보이는데 이 도형들이 가지는 의미와 도형을 선택하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소해빈 : 오징어 게임은 구슬 놀이, 달고나 게임,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놀이 등 사람들의 흥망성쇠가 놀이에 달려 있다. 오징어 게임을 구성하고 있는 “놀이”의 느낌을 끌고 오기 위해 오징어 게임의 ‘ㅇㅅㅁ’을 이용했다. 마침 놀이의 요소도 3개, 오징어 게임의 대표 글자도 3개였다. 놀이의 각 요소를 보여줄 수 있는 도형을 이용하는 것이 더 직관적으로 눈에 보일 것 같았다. 놀이의 컨셉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에서 교류형 공간은 ㅇ, 주도적 공간은 ㅁ, 체험형 공간은 ㅅ으로 잡은 것을 보여주고 그 뒤에서 각 공간을 설명할 일이 있을 때 도형을 사용했다. 일일이 패널에 교류형 공간, 체험형 공간, 주도성 공간이라고 쓰지 않도록 했다. 사실 오징어 게임이 유행이라 내 패널에 남겨 놓고 싶었다.


Q. 계단과 오브젝트들을 붉게 칠해 하얀색의 매스에 포인트를 주어 독특하고 재밌는 분위기가 느껴지는데 이렇게 계획하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소해빈 : 계단은 접하기 어려운 놀이 공간으로 시민들을 유도하고 접근하게 하여 주도적으로 놀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 우연으로 사람들이 여러 갈래에서 만나도록 하여 교류적이기도 하다. 이렇게 설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에 강렬한 색감을 쓰고자 했다. 주변 공간과 대비되어 눈에 띄게 하기 위함이다.

Q. 중앙에 광장을 만들고 광장주변을 둘러싸도록 건물을 설계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소해빈 : 시민들을 유도하는 것이 중요했다. 따라서 축에 따라 큰 길들을 냈는데 큰 길들을 내니까남는 땅이 광장 주변밖에 없었다. 중앙에 광장을 만든 것은 큰 축들이 만나는 교점이었기 때문이다.
Q. 25층 가량의 높은 높이를 가지고 있는 전망대를 계획하셨는데 이러한 전망대를 계획하신 이유와 이를 통해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궁금합니다.
소해빈 : 일단 놀이형 공간은 사람들이 접하기 어려운 곳이다. 따라서 전망대와 같이 대중적인 프로그램을 계획한다면 시민들이 가볍게 방문할 것으로 생각했다.
또한, 사이트가 톨게이트와 천안 시내의 중심지에 있기에 천안의 랜드마크로서 자리 세워질 수 있다고 생각했다. 천안은 충청도에서 눈에 띄게 인구가 급증하며 커지고 있는 도시이다. 톨게이트 근처에 25층의 높은 전망대를 계획한다면 주변을 지나가는 방문자들에게도 눈에 띄며 시민들도 커지는 도시의 스카이라인을 구경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Q. ‘잡담터’ 는 작은 마을이 모여있는 듯한데, 이곳에 대해 설명 부탁드립니다.
소해빈 : 잡담터는 체험형 부스들에서 사람들이 자유롭게 나와서 사람들이 이야기할 수 있는 공간이다. 문화를 체험하기 위해서는 부스 모듈들을 넣어야 했는데 이 모듈들은 다소 폐쇄적이라 놀이의 요소인 교류성을 해칠 수 있을 것 같았다. 따라서 체험형 부스도 제공하되 교류적인 성격도 해치지 않도록 부스에서 나와서 사람들이 교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했다.


Q. 이 문화시설이 지역이나 사용자에게 어떤 영향을 주었으면 좋겠나요?
소해빈 : 서울에는 참여형 문화 시설이 굉장히 많다. 따라서 충청도의 참여형 문화 시설로서 자리 잡고 지방의 도시에서도 다양한 문화 놀이를 즐길 수 있다는 것이 알려졌으면 했다. 지방시민들도 서울에서 내려온 3년 지난 트렌드를 즐기는 것이 아니라, 요즘 트렌드에 맞는 프로그램을 즐겼으면 하는 마음에서 설계했다.
Q. 작품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이나 컨셉은 무엇인가요?
소해빈 : 놀이의 컨셉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전망대가 생각보다 비중이 커진 것 같은데 전망대는 놀이형 공간에 시민들을 유도하고자 하는 주도적인 공간요소일 뿐이다.
Edited by
김예빈 @yeahbeen_00
정병훈 @byng_hn
> 3-2 Complex Cultural Facility : 소해빈, 문화 놀이터 프로젝트 바로가기
Instagram의 국립공주대학교 천안캠퍼스 건축학과 아카이브님 : "3-2 Design Studio / Complex Cultural Facility
66 Likes, 0 Comments - 국립공주대학교 천안캠퍼스 건축학과 아카이브 (@kda_archive) on Instagram: "3-2 Design Studio / Complex Cultural Facility Design Project 문화놀이터 소해빈 @cowsunb..."
www.instagram.com
'REPORT > INTER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erview] 2022 근대도시건축 디자인공모전_대상 : 윤창훈, 힐튼호텔 맞댐의 관계 (0) | 2023.06.01 |
---|---|
[Interview] 2-2 Rhythm of the city street: 김서호, Shall We Dance In Mirror? (0) | 2023.06.01 |
[Interview] 5-1 Graduate Project : 최혜린, Time Based Home (0) | 2023.04.01 |